
2학년 2학기 학과 과목 컴퓨터 그래픽스라는 과목을 수강했는데, opengl을 사용해서 객체 모델링하는 걸 배웠다 그 과목에서 개인별 최종 프로젝트를 제출하라고 해서 뭘 만들까 하다가 평소에 애니메이션을 즐겨보던 나였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의 한 장면을 opengl로 나타내보고 싶었다 후보는 총 3가지였다 첫 번째는 신카이 마코토의 초속 5cm 마지막 기차 장면 크... 이거 같은 경우에는 기차 움직이는 모션과 주인공이 주머니에서 손을 넣고 있다 빼는 장면과 시점을 잘 했으면 구현할 수 있었을 거 같은데, 기차의 움직임이 조금 어려워보여 일단 패스했다 두 번째는 드림워크스의 드래곤길들이기(how to train your dragon?) 히컵은 앉아있고 투슬리스가 네 발로 있다가 두 발로 앉는 장면인데 솔직히..
2. 소통시간은 길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소통은 간결하고 빠르게!) 보통 이 프로젝트 과목을 들을때 줌 소회의실 기능을 이용해 회의를 했다 우리팀은 다른팀들보다 매주 긴 시간 회의를 했고, 나는 우리팀이 다른팀보다 열심히 하고 있구나 라고 생각했다 근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회의시간이 긴거에 비해 이야기의 진행도는 크게 진행되지 않았다. 즉, 우리는 소통을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애초에 생각해보면 프로젝트 주제도 명확히 정하고 간 것도 아니고, 대충 게임만 만들자라는 생각이라 항상 그 주 마다 회의할때 이번주는 뭐하지?라는 생각으로만 몇십분을 날렸던 것 같다. 만약 우리가 프로젝트 방향성을 처음부터 잘 정해놨고, 무엇을 구현해야할지 명확했다면 이 고민시간이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고, 더 간결하고 빠르게 ..
오우오우.. 이건 아주 길어질것이야 나는 아마 직감했다 이 글은 짧게 끝나지않을것이라는 예감 혹은 직감 하지만 나는 써야한다 이 글을 왜냐하면 정말 이 프로젝트를 하며 느낀 것이 많았기때문이다 아마 이때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팀원은 이 글을 볼 것이고, 내 입장에서 어떤 것을 느꼈는지 그 팀원이 본다면 또 얻어가는 것이 있으리라고 생각하고,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은 여러분들이 보아도 얻어갈 것이 있을 글이 될..되었으면 좋겠다 1학기때 팀프로젝트를 처음 진행해보며 느낀것은 1. 역할분담은 크게하는 것이 좋다. (나무를 보지말고 숲을 보자) 우리 팀은 그당시 완성본만 제출하면 되겠지라는 생각으로 역할을 게임 내 기능으로만 나눴다. ex) 맵 구현담당, 사운드 담당, 몬스터&아이템 담당, 마우스 움직임 ..

구현 언어 : Python IDE : Pycharm 맵 구현 툴 : Tiled 사용 라이브러리 : Pygame 주제 : RPG game with Pygame 팀원 : 4 활용 오픈소스 : https://github.com/kidscancode/pygame_tutorials 활용 유튜브 : https://youtu.be/3UxnelT9aCo 깃허브 주소 : https://github.com/the-groot/Python-basicproject GitHub - the-groot/Python-basicproject Contribute to the-groot/Python-basicprojec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내용 : 원래 활..

곧 있으면 종강하고 겨울방학이 시작된다 이번 방학의 중요성은 누구보다 잘 느끼고 있다 이번 방학을 헛되이 보내지 않아야 겠다는 생각과 또 무엇을 해야할지 걱정이 많아 같은 학과 선배님을 찾아갔다 난 항상 걱정이 많았고, 그 걱정에 대한 답을 덜어줄 수 있는 선배가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고민고민하다 연락을 드려 아주 귀한 시간을 보냈다 물론 슨배임이 말씀하신게 내가 말한게 정답은 아니라고 하셨다. 그럼에도 도움이 된 부분이 상당히 많다. 한 명이라도 주변에 물어볼 사람이 있었다는 것이 참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만약 코로나 학번이었으면 진짜로 물어볼 사람도 없었을뻔 했다ㅋㅋㅋ 내용이 많지만 내가 주로 물어보고 싶었던 내용은 공모전과 학과내 프로젝트의 차이였다 사기업에 취업하는게 목표인 나는..

저번주에 ai에관한 특강을 두 개 듣게됐는데,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와 컨셉에대한 내용을 알게되어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한다. 개념을 알기위해 항상 나오는 그림이다. 간단해서 그림판으로 만들어보았다 이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머신러닝이 딥러닝을 포함하는 관계고 AI가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포함하는 관계이다. 즉, AI의 종류에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이 있고, 머신러닝에서 더 발전한 기법이 딥러닝이다. 나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은 서로 전혀 다른 기법이라 생각했는데, 내 생각이 틀렸었다. 이 그림 하나만으로도 대충 개념을 알 수 있는 것 같다. 그러면 이제 본론으로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를 알아보겠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는 학습의 방법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딥러닝이 더 똑똑하고 좋은방법이다. 우..
충북SW중심단사업에서 진행하는 오픈소스 SW 프로그램을 2주동안 참여했다.(2022.08.24~09.07) 팀원은 나포함 3명이였고, 논의는 ZOOM과 카카오톡을 주로 이용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git사용에 익숙해지는 것이다. 우리는 organization을 만들어 repository를 하나 만들고 clone을뜨는 방법을 사용했다. pull, push, commit, branch, merge 등의 명령어를 활용해 보았다. 프로젝트 주제는 git roadmap이다. git의 설치부터 명령어 활용까지 설명하는 웹사이트를 오픈소스를 활용해 제작했다. https://web-skills-06.github.io/web-skills/ Web Skills A visual overview of useful skil..

오늘 알아볼 상식은 오픈소스다. 오픈소스는 개발자라면 언젠가는 마주칠 수 밖에 없는 분야이기도하고, 최근에 기업에서 오픈소스 참여 경험이 있는 사람을 뽑고싶어하기 때문에 오픈소스가 무엇인지 알아두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오픈소스가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보자. Open Source,Open Source Software(OSS라고도함)란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의 제작자가 권리를 지키면서 원시 코드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혹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에 준하는 모든 통칭을 말한다. 즉, 소스 코드가 공개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이며, 소스의 수정이나 공유가 가능하다. 개발자이든 개발자가 아니든 누구나 들어가서 소스코드를 보거나 수정할 수 있고, 공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
- Total
- Today
- Yesterday
- infcon 2024
- git commit 수정
- CSS
- javascript
- kloa
- 우분투
- DML
- 데이터 3법
- authorization code
- 로스트아크 캐릭터
- DDL
- oauth
- oauth2.0
- 데이터베이스
- Android Studio
- 2024인프콘
- 오픈소스
- 리눅스
- 인프콘2024
- 클로아
- git
- html
- SpringBoot
- html #웹 #웹사이트 #플레이리스트
- SQL
- git 예전 커밋 수정
- 프로그래머스
- 데이터3법
- authorization_code
- bf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